후다닥포스트 상세
[웹진] 요관 스텐트 삽입 후 부작용 개선을 위한 약물요법
진료과목 : 비뇨기과
Who Da Doc TIP.
요관 스텐트 삽입 후 발생하는 증상에 전립선 비대증 치료 약물과 과민성 방광 치료 약물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요관 스텐트 삽입은 요로 결석 제거 시술 후에 결석으로인한 요관 폐색을 호전시키기 위해 사용됩니다. 하지만 치료 목적이더라도 스텐트가 삽입되면, 외부물질이 우리의 체내로 들어오는 것이기 때문에 방광이 자극 된다거나 통증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습니다. 미국 journal of endourology에 2017년 게재된 연구에 따르면 전립선 비대증 치료 약물(tamsulosin)과과민성 방광 치료 약물(solifenacin)의 사용은 이런 스텐트 관련 증상을 개선시키고, 환자 삶의 질에 긍정정인 영향을 미친다고 발표했습니다.
연구는 스텐트를 4주동안 삽입한 260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진행했으며, 위약군, tamsulosin 복용군, solifenacin 복용군, tamsulosin + solifenacin 복용군으로 나누어 조사했습니다.
연구 결과 요로관련 증상은 스텐트 삽입 후 4주 째 측정에서 tamsulosin + solifenacin 군에서 가장 높은 개선을 보였습니다.통증 수치는 스텐트를 삽입하고 있는 동안에 위약 대비 모든 군에서 유의미한 개선을 보였으며, 스텐트제거 후에는 tamsulosin + solifenacin 군에서 가장 높은 개선을 보였습니다. 스텐트 제거 후 일반 건강 수치는 tamsulosin, solifenacin단독복용 군이 비슷한 정도로 가장 높았습니다. 일의 능률 수치는 위약 대비 모든 군에서높았으며, tamsulosin 단독복용 군이 가장 높았습니다.
즉, 전립선 비대증 치료 약물(tamsulosin)과 과민성 방광 치료 약물(solifenacin) 단독 혹은 병용요법은 스텐트 삽입 후 발생하는 증상을 개선시키고, 환자 삶의 질에 긍정적인 영향을 가져올 수 있습니다.
후다닥 Reference
Dellis AE, et al. J Endourol. 2017 Jan;31(1):100-1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