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다닥포스트 상세
[웹진] 대상포진에 항바이러스 치료가 치매 발생 위험 낮춘다
진료과목 : 내과 , 피부과
Who Da Doc TIP.
대상포진에 적절한 항바이러스 치료는 치매 발생 위험을 낮출 수 있습니다.
대상포진은 수두 대상포진 바이러스(varicella zoster virus)에 의하여 초래되는 질환으로 피부 분절을 따라 통증과 함께 발진과 수포들이발생하는 특징을 갖고 있습니다.
이런 대상포진에 적절한 항바이러스제 사용이 치매위험을 감소시키는지 확인한 국내 연구가 나왔습니다. 서울아산병원 감염내과 김성한·배성만, 의학통계학과 윤성철, 정신건강의학과김성윤 교수팀은 국민건강보험공단 표본(2002~2013년)으로항바이러스제로 치료받은 집단과 치료 받지 않은 집단으로 나누어 10년간 치매 발생률을 비교했습니다. 두 집단은 성별, 나이, 기저질환, 경제수준 등을 고려하여 1:1 성향 점수 매칭을 하였고, 해당 기간 동안 대상포진으로 진단 받은 50세 이상 환자 34,505명이 포함되었습니다.
대상포진 후 치매 발생률은 항바이러스제 치료받지않은 집단에서는 1000 인년* 당 12.26건, 항바이러스제로 치료받은 집단은 1000 인년 당 9.36건이었습니다.즉 항바이러스제 치료집단은 치료받지 않은 집단에 비해 치매발생확률이 0.76배로 치매에걸릴 위험도가 24% 감소했습니다. 또한 항바이러스제 치료집단은치료받지 않은 집단에 비해 사망률이 0.61배로 사망률 위험도가39% 감소했습니다.
연구진은 대상포진이 치매 발생 위험을 높이는 생물학적기전에 대해서는 추가 연구가 필요하지만, 대상포진이 치매위험을 증가시키고 항바이러스 치료가 이런 치매발생위험을 낮출 수 있다는 것을 빅데이터를 통해 밝혀낸 데 의의가 있다고 밝혔습니다. 이번 연구결과는 ‘유럽 정신의학·임상신경과학 아카이브(EuropeanArchives of Psychiatry and Clinical Neuroscience)’ 최근호에 게재되었습니다.
* 1000 인년 : 대상자 1000명을 1년 동안 관찰한 것으로 환산한 단위
후다닥 Reference
Bae S, et al. EUR ARCH PSY CLIN N. 2020: 1-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