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드뉴스 상세
[웹진] 당신이 궁금한 갑상선에 대한 모든 것! 갑이야 Q&A! VLOG
안녕하세요~ 후닥이입니다.
오늘 "갑이야"에서는
전학훈 교수님을 모시고
갑상선 질환에 대한 Q&A를
들어보겠습니다.
함께 가보시죠!
첫 번째 질문.
갑상선에 이상이 생기면
치료 후 기능이 정상으로 돌아오나요?
-
거의 대부분 돌아온다고 합니다!
하지만 진행이 된 안구돌출은
어렵다고 하네요.
두 번째 질문,
임산부, 수유부, 소아, 청소년도
갑상선약을 먹을 수 있나요?
-
갑상선약은 대체로 안전하여
소아 청소년이 복용해도
큰 문제는 없다고 합니다.
다만 임신이나 수유 중에는
저용량 항갑상선제를 복용하고,
복용 시간을 준수해야 합니다.
세 번째 질문,
임신 중 갑상선 기능에 이상이 있다면
임신에 지장이 가나요?
-
임신 준비 기간 중에 갑상선 기능이
정상이라면 정상적인 임신과 출산이
가능하고요.
갑상선기능은 태아 발달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기에
호르몬체크는 반드시
해 보셔야 한다는 사실!
잊지 마세요~
네 번째 질문,
갑상선질환의 재발율은 높은가요?
-
갑상선약은 보통 1년 이상
복용하는 것을 권장하고,
환자들의 3~40%가 약 중지 후
10년까지 관해가 유지되는 수준이라고
하네요.
하시모토 갑상선염 같은 경우는
80%가 정상 갑상선 기능을 유지합니다!
다섯 번째 질문,
갑상선 기능에 영향을
끼치는 약물이 있나요?!
-
요오드 함량이 높은 부정맥 약인
아미오다론은
약제 유발성 갑상선염을 일으킬
위험이 있구요.
그 외 방사능 조영제나
항생제 미노사이클린,
항암제인 TKI 제제,
항바이러스제인 인터페론 등의 약물이
갑상선 기능에 영향을 줄 수 있다고 하네요!
여섯 번째 질문,
권장되는 하루 요오드 섭취량이 있을까요?
성인의 경우 하루 최소 150μg 이상,
최대 2400μg 이하의 섭취를 권장합니다.
-
대한민국 국민들은 워낙
미역, 파래, 김 같은 해조류 섭취량이 많아
세계인의 평균 섭취량의
3배를 섭취한다고 하는데요.
정상인의 경우 요오드를 조금 과하게
섭취해도 다시 몸에서 빠져나간다고 하니
걱정 안 하셔도 될 것 같습니다!
그 외에도, 자가면역질환으로 인한
갑상선 기능 이상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스트레스와 불규칙한 생활 습관을 피해야
한다고 합니다.
자, 이제 갑상선에 대한 궁금증들이
어느 정도 해결 되셨나요?
저 후닥이는, 그럼 다음 시간에
또 새로운 주제로 찾아오겠습니다!
모두 안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