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다닥포스트 상세
[웹진] 소아/청소년 천식 이것만 알고 가세요(4)- 증상 악화 인자, 주의사항
진료과목 : 내과 , 소아청소년과
후다닥 꿀팁
천식은 숨을 쉬는 기도(숨길)에 발생하는 알레르기성 염증질환이며, 수개월에서 수년 동안 지속되면서 악화와 호전을 반복합니다.
위험인자를 잘 예방하고, 적절한 약물을 선택하여 꾸준히 치료하면 정상적인 생활이 가능합니다.
따라서 전문의와 상의하여 올바른 약물로 지속적인 치료와 관리를 받으시길 바랍니다.
[천식 증상 악화 인자]
천식 증상을 나쁘게하는 요인은 집먼지 진드기, 곰팡이, 꽃가루, 애완동물 털 외에도 우리 생활에서 쉽게 찾아 볼 수 있습니다.
일부 약물이나 운동도 천식 증상을 일으킬 수 있으며,
담배 연기도 천식을 악화시키는 중요한 요인입니다.
천식이 있는 사람은 급격한 기후나 온도 변화를 조심해야 하고,
청소를 할 때 발생하는 먼지나 헤어 스프레이에서 발생하는 가스도 천식 증상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또한 감기나 비염에 의해서도 증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천식 악화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악화 요인을 알고 회피하도록 노력해야 합니다.
[환경 개선 – 악화 인자 노출 예방]
집먼지 진드기나 곰팡이가 자랄 수 있는 카펫, 천으로 된 소파, 쿠션, 봉제 완구 등을 집에서 모두 없애야 합니다.
애완동물은 가능한 키우지 않습니다.
실내에서 흡연하는 사람이 없어야 하고 자극적인 냄새는 자주 환기를 시켜 제거 합니다.
집먼지 진드기가 원인 물질로 규명된 천식 환자에서는 침구관리가 중요합니다.
가능한 침대 사용은 자제합니다.
침구류는 55도 이상의 뜨거운 물에 최소한 주 1회 세탁하고,
한 달에 2회 이상 햇볕에 건조시켜 줍니다.
집먼지 진드기 비투과성 커버를 사용할 수 있지만 그 효과는 아직 명확하지 않습 니다.
창문을 이용하여 자주 환기를 시켜주어야 합니다.
특히 실내 공기가 탁하거나 음식 조리 후 가스나 냄새로 가득 차 있을 때
반드시 창문을 열어 바깥 공기를 들어오게 해 주어야 합니다.
반대로 오존 주의보, 황사 주의보,꽃가루 주의보 등과 같이 바깥공기가 오염되어 있을 때에는
가능한 창문을 닫아서 바깥의 오염된 공기가 들어오지 않도록 합니다.
[운동 주의사항]
천식 증상이 잘 조절되면 천식 환자도 일반 사람들과 마찬가지로 운동을 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과격한 운동은 가능한 피하는 게 좋습니다.
만일 운동 중에 숨쉬기가 어렵거나 심한 기침이 발생하면 운동을 즉시 멈춰야 합니다.
이런 현상은 특히 날씨가 춥고 건조할 때 발생하므로
이 경우에는 가능한 운동을 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모든 운동을 할 때 반드시 준비 운동을 하고 운동은 서서히 끝내면서
마무리 운동 까지 시행하는 것이 좋습니다.
운동을 하다가 언제 숨쉬기 힘든 상황이 발생할지 모르므로
항상 증상완화제를 가지고 다녀야 합니다.
심한 운동을 하는 경우에는 운동 15분 전에 증상완화제를 흡입하면 악화 예방에 도움이 됩니다.
[외부활동, 외박 시 주의사항]
천식 학생은 수학여행이나 야영 등의 교내 행사 시 미리 담당의사와 여행 계획을 상담하도록 합니다.
또 필요한 약물을 충분히 준비하고, 각 약물의 사용 방법과 증상 대처법을 숙지합니다.
비행기나 자동차로 이동하는 중에도 사용할 약물을 휴대해야 합니다.
연무기를 이용하여 천식 약물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방문하는 국가의 전압을 확인 하여 준비하도록 합니다.
[황사 주의사항]
봄철에 찾아오는 황사로 인한 천식 악화가 올 수 있어서 예방이 필요합니다.
우선, 황사가 있는 경우 가능한 외출을 피하고 실내에서 생활합니다.
외출이 필요하다면 마스크를 쓰고, 외출 후 귀가하면 손과 얼굴을 깨끗이 씻고 양치질을 합니다.
그렇게 함으로써 알레르기를 일으키는 항원이나 외부 자극물질을 제거합니다.
또 실내에서는 최대한 창문을 닫고, 가습기를 이용하여 건조해지지않도록 합니다.
실내습도는 40~60% 정도를 유지하는 것이 좋습니다.
WPA2110MG04
후다닥 Reference
질병관리청, 교육자료 『천식 표준 교육 프로토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