웹진

[웹진] 알코올 간질환의 국내 현황

 Who Da Doc TIP.

알코올 간질환은 만성 간염, 간경변증, 간암의 주요 원인이며 다른 만성간질환의 예후에도 나쁜 영향을 미칩니다.


알코올은 간염바이러스 및 약물 등과 함께 만성 간질환의 주요 원인입니다.2012년 국내 자료에 따르면 알코올 간질환은 만성 간질환 중 13.0%, 간경변증 중 18.1%를 차지하여 각각 바이러스 간염, 비알코올 지방간에 이어세 번째로 흔하였습니다. 최근 국민건강영양조사에 따르면 알코올 간질환의 유병률은 1998-2001년 3.8%에서2016-2017년 7.0%로 상승했습니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통계에 따르면 2019년 알코올 간질환(알코올 지방간, 알코올간염, 알코올간경변증, 알코올간부전 모두 포함)으로 진료를 받은 환자 수는 총 13.6만 명이고 이 중 남성은 11.6만 명(84.8%), 여성은 2만 명(15.2%)이었습니다. 여성의 경우 절대적인 환자 수는 적지만, 10-30대의 경우 다른연령대에 비하여 알코올 간질환 상병들에서 여성이 차지하는 비율이 20%로 적지 않았습니다. 특히, 알코올간경변증의 경우는20-30대에서 여성의 비율이 50% 이상으로 높았습니다.알코올 간질환의 유병인구 중 젊은 여성의 비율이 높게 나타나는 것에 대해서는 주목할 만 하며, 낮은연령대부터 단주 교육이 필요함을 시사합니다.

 

우리나라는 만성 바이러스 간염의 유병률이 높아 이러한 환자들이 음주를 하는 경우 음주가 간경변증 및 간암 발생에미치는 영향은 더 클 것으로 판단됩니다. 한 연구에서는 폭음(하루 50 g 이상)을 하는 만성 B형간염환자에서 그렇지 않은 환자에 비하여 간경변증이 발생하는 연령이 30년 정도 낮았습니다. 그뿐 아니라 사망 연령도 10년 정도 빨랐는데 그 원인으로 간경변증(93%)과 간암(35%)이 높은 빈도를 차지하고 있었습니다.

 

알코올 간질환만 가지고 있는 환자뿐 아니라 다른 만성 간질환을 가진 환자에서도 만성적인 음주 습관에 대한 교육과개입이 매우 중요합니다.






WPA2111MK02

  후다닥 Reference

대한간학회 한국인 간질환 백서(2021)


연관 질환백과 바로가기

후다닥 건강 알림

알럿창 내용 입니다